독자분들은 십이지신 다른 말로 십이지지(十二地支)에 너무나 잘 아실 겁니다. 우리의 태어난 해를 가리키는 열두 마리의 동물을 우리는 십이지신이라고 합니다.
자,축,인,묘,진,사,오,미,신,유,술,해 늘 외웠던 순서지요 그런데 독자 여러분. 여러분들은 올해 새해 첫 날 이런 방송을 들은 기억은 없습니까?
“여러분 육십 년 만에 오는 검은 호랑이해인 임인년(壬寅年) 새해가 밝았습니다.” 분명 들어 보신적이 있을 겁니다, 그리고, 아마도 조금 있다가 오는 새해에는 이런 말을 들으실 겁니다. “국민 여러분 육십 년 만에 오는 검은색 토끼해인 계묘년(癸卯年) 새해가 밝았습니다.”
아니 임인년이 호랑이해이고 계묘년이 토끼띠인 것은 알겠는데 왜 둘 다 검은색이지?
그 이유는 앞에 있는 천간(天干)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. 우리는 어릴 때 갑(甲)을(乙)병(丙)정(丁)무(戊)기(己)경(庚)신(辛)임(壬)계(癸) 이 열 가지를 천간이라고 배웠습니다. 그리고 십이지 앞에 그 천간을 넣고 해 즉, 년(年)을 표기하지요
그러면 천간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? 천간은 음양(陰陽) 중 하늘 천(天)자가 들어가 있으니 양(陽)에 해당합니다. 참고로 십이지신은 땅 즉, 지(地)가 들어가니 음(陰)에 해당합니다.
과거 중국에서는 첫 번째 뜨는 해를 갑(甲)이라고 하며 두 번째 뜨는 해를 을(乙)이라고 칭했습니다. 그러고 마지막에 열 번째 뜨는 해를 계(癸)라고 했습니다. 그리고 이것이 한번 순환하면 그것을 순(旬)이라고 했습니다. 한마디 십진법인 겁니다. 그리고 한 달을 삼십 일로 생각하면 열 번이 세 번 순환하니 첫 번째 열흘은 초순(初旬), 두 번째 열흘은 중순(中旬) 그리고 마지막 열흘은 하순(下旬)이라고 하지요.
이렇듯 천간은 순서를 나타내는데 쓰이며 요즘은 익명을 사용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, 그런데 그것도 자세히 보면 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러면 여기서 천간의 의미는 알겠는데 왜 임인년이 검은색 호랑이이고 계묘년이 검은색 토끼냐고 물어보실 수 있을 겁니다.
그 이유는 또 오방(五方)에 있습니다. 유학에서는 천간 열 개를 오방의 순서에 맞추어 두 개씩 정해 놓았습니다, 지난번 글에서 오방의 순서는 동.남.중앙.서.북 순서라고 알려드린 적이 있습니다. 그 순서대로 천간을 집어넣은 겁니다.
동쪽에는 갑을(甲乙), 남쪽에는 병정(丙丁), 중앙에는 무기(戊己), 서쪽에는 경신(庚辛), 북쪽에는 임계(壬癸)를 지정해 놓은 겁니다.
그런데 오방에는 지정해 놓은 오방색(五方色)이 있지 않습니까? 그것을 지난 시간에 이야기 해 드렸는데요. 동쪽에는 청색, 남쪽에는 적색, 중앙에는 황색, 서쪽에는 백색, 그리고 북쪽에는 흑색, 그것을 천간에 해당하면 갑을은 동쪽이니 청색이고, 병정은 남쪽이니 적색이며, 무기는 중앙이니 황색이고, 경신은 서쪽이니 흰색 그리고 임계는 북쪽이니 검은색 인 것입니다. 예를 들면 갑자년(甲子年)은 갑이 청색이고 자는 쥐이니 파란색 쥐띠해인 것입니다. 그리고 내년인 임묘년은 임이 검정색 즉 흑색이고 묘는 토끼이니 검은색 토끼해인 것입니다. 세상에 이치가 그렇듯이 알고나면 별것 아니죠.
이것을 도표에 한번 다시 집어넣으며 글을 마치고자 합니다. 그리고 다음 시간에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차분히 정리하여 드리겠습니다.(다음호에 계속)
